최근 들어 20·30대 청년층이 대출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경제 불황과 고물가로 인해 생활비를 충당하거나 주택을 마련하기 위해 대출을 받는 청년들이 많아졌습니다. 이와 함께 자영업자들의 부채 문제와 전세보증금 관련 위험도 더해지면서, 청년층의 경제적 부담은 점점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2030세대의 대출 급증: 왜 청년들은 대출을 받을 수밖에 없나?
한국은행의 자료에 따르면 2024년 2분기 기준 30대 이하 가계대출 잔액은 약 496조3000억원에 달했습니다. 이는 최근 5년간 98조9000억원(24.9%)이 증가한 수치로, 다른 연령대보다 빠르게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팬데믹 이후 취업난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청년층이 생활비를 충당하거나 주택 마련을 위해 대출을 받을 수밖에 없는 상황을 반영합니다.
청년층의 대출 증가는 주로 두 가지 요인에 기인합니다. 첫째, 고물가와 소득 정체로 인해 생활비가 부족한 청년들은 저금리 정책자금을 활용해 대출을 받습니다. 둘째, 부동산 광풍으로 집값이 급격히 상승하면서 "지금 아니면 집을 살 수 없다"는 불안감이 청년들의 주택 대출 수요를 부추깁니다.
이처럼 청년들이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 대출을 선택할 수밖에 없는 상황은 앞으로도 지속될 가능성이 큽니다.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청년층의 대출 연체율이 증가하면서 장기간 누적된 대출 압박이 심화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영세 자영업자와 전세보증금 문제: 그림자 부채의 증가
청년층의 대출 문제 외에도, 영세 자영업자의 부채는 또 다른 심각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한국은행과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영세 자영업자의 부채는 2024년 1분기 기준 365조4000억원으로, 5년간 76.2%나 증가했습니다. 고금리 환경에서도 영세 자영업자들은 자금난을 해결하기 위해 대출을 받을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또한, 정부 통계에 잡히지 않는 전세보증금 문제도 심각합니다. 전세보증금은 금융기관을 통하지 않고 거래되는 사적 금융이기 때문에, 통계에 포함되지 않아 '그림자 부채'로 불리는데요. 2023년 전세보증금은 약 1006조7000억원으로, 5년 새 37.7%나 증가했습니다. 이러한 전세보증금은 집주인이 세입자에게 돌려줘야 하는 금액으로, 집주인의 재정 상태에 따라 미반환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커지고 있습니다. 최근 3년간 전세임대주택 보증금 미반환 금액은 1762억원에 달했습니다.
이처럼 전세보증금 문제는 가계부채 통계에 포함되지 않지만, 실제로는 청년층과 자영업자에게 큰 경제적 부담을 주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청년 대출 연체와 금융 범죄: 악순환에 빠진 청년
2030세대의 대출 증가와 더불어, 연체율도 함께 상승하고 있습니다. 특히 인터넷은행을 통해 받은 비상금대출에서 청년층의 연체 비율이 높아졌습니다. 카카오뱅크, 토스뱅크, 케이뱅크의 비상금대출 연체금은 2024년 6월 기준 총 315억원에 이르렀으며, 그 중 66%는 20·30대 청년들의 연체입니다.
비상금대출은 소액을 쉽게 빌릴 수 있어 청년들에게 인기가 많지만, 대출금을 제때 상환하지 못하면 연체가 발생하고, 이는 다시 청년들의 재정 상황을 악화시키는 악순환을 초래합니다.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 대출 상환 부담을 느끼는 청년들은 점점 더 많은 대출을 선택하게 되며, 이는 연체율을 더욱 증가시키는 결과를 낳습니다.
또한, 청년층을 겨냥한 사기 범죄도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최근 140여 명의 대학생과 사회초년생들이 150억원 규모의 전세 사기 피해를 입는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이러한 사기 사건은 청년들이 대출로 인한 경제적 압박 속에서 사기 범죄에 노출될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청년층 대출 문제 해결을 위한 대응 방안
청년층의 대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책적 지원과 교육 강화가 필요합니다. 정부는 청년층이 무분별하게 대출을 받지 않도록 정책자금을 신중히 운영하고, 대출 상환 능력을 고려한 대출 규제를 강화해야 합니다. 또한, 청년들에게는 재정 건전성을 유지하는 방법과 금융 교육을 통해 올바른 대출 관리 방법을 교육해야 합니다.
현재 많은 청년들이 대출을 받는 과정에서 금융 이해도가 낮아 잘못된 선택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대출을 선택하기 전 자신의 상환 능력을 충분히 검토하고, 장기적으로 재정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금융기관도 이러한 교육을 제공하고, 무분별한 대출을 억제하는 시스템을 강화해야 합니다.
청년층의 경제적 부담, 해결책을 모색해야
20·30대 청년층의 대출 증가와 그에 따른 경제적 부담은 한국 사회에서 중요한 문제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생활비 부족과 부동산 가격 상승, 그리고 경제 불황 속에서 청년들이 대출을 통해 재정 문제를 해결하려 하지만, 이는 장기적으로 더욱 큰 부담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영세 자영업자의 부채 문제와 전세보증금 문제도 함께 해결해야 할 과제입니다. 정부와 금융기관은 청년들이 빚의 악순환에 빠지지 않도록 대출 관행을 강화하고, 금융 교육을 통해 청년층의 재정 건전성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결국, 청년층이 미래를 준비하고 안정적인 삶을 살 수 있도록 경제적 지원과 대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정부와 금융기관이 함께 청년 대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때입니다.